Swift

    Type Inference & Annotation & Conversion

    안녕하세요;) 오늘은 Swift의 타입 추론, 타입 지정, 형 변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Type Inference( 타입 추론) 타입 추론이란 뭘까요? 타입을 지정하지 않고 초기값을 보고 자동으로 타입이 지정되는 것을 말합니다. var month = "October" var year = 2020 위 코드를 보면 타입을 지정하지 않았죠?? Swift는 컴파일 하는 과정에서 타입을 지정해 주지 않아도 초기값을 보고 자동으로 타입을 지정해 줍니다. 변수는 선언과 초기화를 동시에 할 수도 있지만, 선언만 먼저 해놓고 초기화를 분리하여 작성할 수도 있습니다. 상수는 선언과 초기화가 상수를 호출하기 전에 이루어져 합니다. 그럼 왜 타입 추론을 사용하는 걸까요? 이유는 단순합니다. 타입 추론을 사용..

    DateType with Memory

    안녕하세요:) 오늘은 Swift의 DateType과 Memory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우선 Swift에는 Int타입, UInt타입, String타입, Float타입, Double타입, Bool타입, Character타입이 있습니다. 하나하나 알아보도록 할게요! 1. Int Int는 정수를 뜻하는 타입입니다. 부호 있는 정수값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자료형입니다. Int타입에는 음의 정수, 0, 양의 정수를 저장할 수 있고, 부호 비트를 통해 음수와 양수를 표현합니다. 자료형 저장할 수 있는 값의 범위 크기 Int8 -128 ~ 127 8bit Int16 - 32768 ~ 32767 16bit Int32 -2147483648 ~ 2147483647 32bit Int64 약 -900경 ~ +900경 64bit..

    Variables and Constants

    안녕하세요:) 오늘은 Variable과 Constants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Variable , Constants는 변수와 상수라고 합니다. 그럼 변수와 상수는 무엇이고 어떻게 선언할까요? 우선 변수는 var 키워드, 상수는 let 키워드로 선언합니다. var (변수 이름): (데이터 타입) = 값 let (상수 이름): (데이터 타입) = 값 var age: Int = 26 // 변수 선언 let num: Int = 26 // 상수 선언 위에 코드를 굳이 변수와 상수로 나누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코드를 짜다 보면 중간에 값을 변경해야 할 때가 있겠죠 ?? 변수와 상수는 값을 저장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차이점도 분명합니다. 변수는 저장한 값을 필요에 따라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있지만..

    프로그래밍 기본 용어

    Swift를 시작하기에 앞서 프로그래밍의 기본 용어를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할게요! 우선 Swift가 어떤 건지부터 알아볼까요? Swift는 애플에서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2014년 6월 개발자 회의에서 소개되었습니다. iOS, macOS, watchOS, tvOS 등을 개발할 수 있으며, 기존의 objective-C와 유사하나 개발과정뿐만 아니라 성능 또한 빠른다고 합니다. 그래서 현업에서도 점차 objective-C에서 Swift로 넘어가는 경향이 있어 다음과 같이 업무가 구분된다고 합니다. ​ 1. objective-C 유지/보수 2. obejective-C를 Swift로 변환 3. Swift 개발 이렇기 때문에 Swift는 iOS 개발에 있어서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프로그래밍..